2022년 3월 6일 일요일

Hold-up time

 "Hold up time dealt with the constant output voltage during short time after the electric system was failed"


R. Kathiresan, T. Parthiban, P. Das, and M. Pahlevaninezhad, “Analysis

of a ZVS DC-DC full-bridge converter with natural hold-up time,” in

Proc. IEEE ECCE, Sep. 2015, vol. 29. no. 9, pp. 1521–1527.


Hold up time은 출력 유지 시간으로 입력을 차단한 후 출력 전압이 정전압 정도 범위 또는 규정의 전압 범위를 유지하고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즉, 컨버터가 입력 측의 주전원 고장 후 최대 출력 전력에서 조절된 출력 전압으로 부하에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지속시간을 hold up time(HUT)라고한다. 

모 전력공급장치 제품에서 표시된 Hold up time 스펙은 16msec(minimum) @50% load at 230Vac 50Hz input.

Hold up time은 대부분이 커패시터가 영향을 미친다.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와 연결하는 형태의 PSU(Power Supply)에서 정전이 일어났을 때, UPS의 배터리 전원과 연결하는 시간동안에 PC가 꺼지는 일이 벌어지지 않아야 한다. 그래서 Hold up time이 길수록 좋다. 이와 관련해서 Hold up Capacitance가 매우 중요하다. SMPS는 >20ms라고 표시된다. 정전을 대비해서 Hold up time이 긴것이 매우 좋다. 웬만하면 20ms보다 크면 정전을 대비할 수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제 8 장 인버터 (직류의 교류변환) 8-1. 기본 개념 8-2. 전브리지 변환기 8-3. 구형파 인버터 - ppt download

제 8 장 인버터 (직류의 교류변환) 8-1. 기본 개념 8-2. 전브리지 변환기 8-3. 구형파 인버터 - ppt download : 제 8 장 인버터 (직류의 교류변환) 8-9. 펄스폭 변조 출력 PWM 관련 정의와 고려사항 펄스폭 변조 출력 P...